|
이번 연수는 ▲ 성고충상담원의 역할과 성사안 처리 절차 ▲ 성희롱·성폭력 관련 법제도 및 사례 분석 ▲ 성인지 감수성과 성평등 조직문화 이해 등을 중심으로 구성됐다.
특히 참여 기회를 늘리기 위해 1개 기수를 늘려 3기로 진행된 연수에는 지난해보다 두 배 가까이 늘어난 총 720여 명이 연수를 이수하며 성인지 감수성을 높이고, 실무역량을 강화했다.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의 정남일 전문강사는 실제 사례를 중심으로 한 강의를 진행해 연수생들의 높은 호응을 얻었다.
연수 만족도는 전년보다 상승해 93~97%로 나타났다.
한 연수 참가자는 “현장에서 꼭 필요한 사례 중심 교육으로 성고충상담원의 역할을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며 “학교 구성원을 대상으로 성인지 감수성 교육을 적극 실시하겠다”고 말했다.
김호범 학생생활교육과장은 “성사안 처리 과정에서 피해자에게 2차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성인지 감수성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며 “앞으로도 관련 연수를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노해섭 기자